본문 바로가기
전기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이유

by SanQ 2021. 9. 15.
반응형

자격증 취득순위

안녕하세요. 산큐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전기기능사 자격증에 대해서입니다. 전기 기능사는 취업 시장에서 상당히 주목받는 자격증입니다. 저 산큐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사 자격 취득까지 걸리는 시간과 현장 작업에서의 활용도 등을 비교 해보았을 때 여러모로 큰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 군대 전역 이후 빠르게 전기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제가 전기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취업이 잘되는 자격증 

우리는 학창 시절부터 놀기 바쁜 와중에도 학업에 열중하며 좋은 대학 좋은 학과를 가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씁니다. 저는 이러한 과정이 결국 궁극적으로 취업을 하기 위한 디딤돌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더욱 코로나 19로 인한 취업 시장이 얼어붙은 요즘 시대에서는 예전보다 일자리가 부족하여 내가 준비하였던 나의 진로에 길이 막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물론 모든 분야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내가 이끌어가야 하는 가정이 있거나 빠르게 새로운 분야로의 취업과 다른 직종으로의 이직을 계획하고 있다면 위 자료에 나오듯 상위에 있는 자격증을 취득하여 수입을 얻는 것이 좋습니다. 당연히 기사 자격증보다 별다른 응시 제한이 없는 기능사 자격증이 쉬울 것입니다. 

2.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단계

저는 고등학교 졸업하고 빠르게 취업 길에 나섰습니다. 제가 선택하였고 제가 한만큼 받은 결과였지만 당시 19, 20세였던 저는 그동안 내가 배웠던 것들이 너무나도 적성에 맞지 않았고 군대 이후 직종을 바꾸는 방법으로 위에 설명처럼 응시 제한이 없는 기능사 자격증부터 시작하였습니다.  2~3년 시설관리 일을 하면서 차차 경력을 쌓았고 응시 자격을 채워 위에 전기기사 자격증까지 취득 성공하였습니다.

  • 전기기사 응시자격

산업기사 취득 후 + 실무 경력 1년

기능사 취득 후 + 실무 경력 3년

대학교 졸업 + 기사 자격증 취득/ 기능사 취득 + 3년 경력 기사 취득 비교

대학교에 다녔다면 4년 동안 등록금 비용도 들고 놀다 보면 자격증도 못 따고 졸업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이 경우는 돈이 줄줄 새는 경우이죠. 이것은 사회에 나왔을 때 다 빚이 됩니다. 남들과 같이 군대를 다녀왔다면 졸업했을 때의 나이는 보통 26~27살 일 것입니다. 통상 결혼을 30대 초반에 한다면 빚을 갚고 수중에 남는 돈은 한 푼도 없을 겁니다. 나는 부모님이 다 비용을 다 대주신다는 분들도 있겠지만 부모님한테는 그것이 전부 부담이라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경력3년을 채우고 기사 자격 취득을 한다면 그동안 전기 현장 작업도 배우고 돈도 벌고 좋습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저는 이 방법을 통해서 지금도 선임 경력을 계속 쌓아가고 있고 인생에 있어 이 길을 잘 선택했다고 생각해요.

3. 현장은 실전이다! 기능사>기사

기사 자격증만 가지고 현장에 나가신 분들은 아실 겁니다. 기사 자격증은 현장에서 써먹기가 어렵습니다. 기사 시험의 경우는 실무보다는 이론 쪽으로 배우는 것으로 생각해요. 어떠한 작업을 하거나 설비의 구성을 보았을 때 이래서 이렇게 했구나 이해하는 데 도움은 되겠지만 실무와는 거리가 멉니다. 그와 다르게 실기 시험 때 시퀀스 회로를 구성하는 시험을 보는 기능사는 직접 도구 만져가며 선 작업도 해보고 릴레이, 타이머, 전자 접촉기, 등 현장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전기 자재들을 시험단계에서 접할 수 있습니다. 제가 만약 전기 작업자를 뽑는다면 저는 전기기사보다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더 높게 쳐주고 싶네요. 이렇게 말하는 이유가 간혹 보면 전기기사 자격증 있어도 부품 던져주면 결선 하나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