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산큐입니다. 이번에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현장에서 설비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그게 ON 버튼 일수도 있고 OFF 버튼일 수도 있고 FAULT 리셋 버튼 일수도 있습니다.
조광형 누름버튼 스위치 설명
위에 그림처럼 생긴 녀석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스위치와는 다르게 안에 램프가 있어 해당 상태에 대한 표시를 해줍니다. 일반적으로 지금이 정지상태라면 녹색 램프가 점등될 것이고 지금이 기동상태라면 빨간색 램프가 점등될 것입니다. 이처럼 이 녀석들 사용하는 이유는 직관적으로 설비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려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현장에서 사용한다면 적어도 기본적인 절차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에 그림을 참고하면서 보시면 편합니다. 램프에 옆면을 보시면 결선해서 선을 물릴 수 있는 곳에 4곳이나 있습니다. 위에 2곳 그 밑에 2곳 총 4개입니다. 위에는 B 접점으로 항상 연결된 상태이고 그 밑에는 A 접점 누르기 전까지는 항상 떨어져 있는 접점입니다. 그래서 해당 그림의 램프가 빨간색이라면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는 점등되고 있지 않다가 버튼을 눌러 A 접점이 붙었을 경우 선이 연결되어 밑에 빨간색 램프가 점등될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참고해서 내가 사용해야 하는 설비에 맞게 결선을 해주시면 됩니다.
부가설명
기본적으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220V 전원이 필요하여 A, B접점 이외에 나머지 두 곳에 220V 전원을 결선하면 됩니다. 그리고 램프에 6.3V라고 적혀있는데요. 이 경우는 자체적으로 트랜스가 내장되어있어 6.3V로 떨어트려 준 것입니다. 그에 따라 노후화로 램프가 망가졌을 경우 6.3V에 해당하는 램프로 교체해주시면 됩니다.
마무리
별것도 아닌 녀석인데 설명하려고 하니 어렵네요. 저도 최대한 보시는 분들에 도움을 드리고자 좋은 양질의 콘텐츠로 찾아오겠습니다. 얼마나 이어갈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전기이론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타이머에 대해서 설명 (0) | 2021.12.23 |
---|---|
전기기사 필기 합격 노하우(전기산업기사) (0) | 2021.12.21 |
전기공사기사 취득하지 마세요 (0) | 2021.09.19 |
누전차단기(ELB) 배선용차단기(MCCB) 차이점 알아보자 (0) | 2021.09.17 |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이유 (0) | 2021.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