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산큐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전기공사 기사 자격증에 대해서입니다. 저 같은 전기분야에 오래 발 담은 것도 아니고 이제 시작하는 어린이입니다. 그래서 수십 년 전에 취득한 경우도 아니고 작년에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거의 1년 정도가 된 지금 이 자격증을 굳이 취득했어야 했나 저도 고민이 많이 들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1. 전기기사 vs 전기공사 기사 비교
전기공사 이야기가 나오면 꼭 빠질 수 없는 녀석이 있지요. 전기기사 자격증입니다. 전기 자격증은 전기기사로 시작해 전기기사로 끝난다고도 말을 하지요. 이거 하나만 있으면 선임도 가능하고 취업 시장에 뛰어드는 젊은 학생들한테 있어서도 큰 스펙이 되는 녀석입니다. 하지만 그에 반해 전기공사기사는 전기기사와 같은 기사급이지만 전기기사는 전기공사 기사를 대신 할 수 있고 전기공사 기사는 전기기사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은 외면받고 있습니다. 이게 왜 그러냐면 법이 바뀌어서 그렇습니다. 예전에는 전기공사업법에서 전기공사만 가지고 있는 메리트가 있었는데 그것이 개정되면서 전기기사로도 대체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물론 따놓고 쓸모없는 자격증은 없겠지만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서 딴 자격증이 역활을 하지 못한다면 이것만큼 아쉬운 게 없지요.
2. 그럼에도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사람들은 왜 있는 것인가
그것은 바로 공기업, 공무원 가산점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제 전기인 이라는 들어가고 싶어 하는 한국전력공사와 전기안전공사의 경우 두 자격증을 개별로 다 가산점을 주고 있기에 제가 설명한 두 자격증이 없다면 서류 과정에서 탈락할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 또한 전기기사를 취득하고 바로 응시하여 다음연도에 전기공사도 취득하였습니다. 저도 20년도 당시 이것을 꼭 따야 하나 고민이 많이 들었고 전기 쪽에서 먹고 살려면 쌍 기사는 필요하다는 근처 어르신들의 조언으로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전기기사를 취득하고 전기공사 기사를 보면 좋은 점은 필기 때 면제 과목이 있어 4과목 면제에 1과목으로도 필기시험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기간은 취득 후 2년까지이며 이런 사기급 메리트가 있어 하는 겸에 취득 하시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기사 시험을 여러 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결국은 이 시험은 운이 많이 필요한 시험이기에 내가 응시하는 회차의 실기가 쉽게 나온다면 노력 대비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 제가 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회차는 합격률이 50%가 육박하는 거저 주는 회차였습니다. 내가 기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면 전년 회차별 합격률과 올해 회차별 합격률을 비교하면서 내가 볼 회차의 예상 합격률도 예측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마무리
결론 내가 공기업, 공무원 준비 중이 아니라면 굳이 필요 없다. 내가 가고 싶은 해당 기업 스펙은 꼭 확인해주세요. 일반 공기업의 경우 전기기사만 있어도 충분한 경우가 태반입니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타이머에 대해서 설명 (0) | 2021.12.23 |
---|---|
전기기사 필기 합격 노하우(전기산업기사) (0) | 2021.12.21 |
[전기이론] 조광형 누름버튼 스위치 설명 (0) | 2021.09.21 |
누전차단기(ELB) 배선용차단기(MCCB) 차이점 알아보자 (0) | 2021.09.17 |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이유 (0) | 2021.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