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누전차단기(ELB) 배선용차단기(MCCB) 차이점 알아보자

by SanQ 2021. 9.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산큐입니다. 이번에는 누전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에 대해서입니다. 누전차단기, 배선용 차단기는 분전함을 열었을 때 가운데와 사이드 부분에 보이는 녀석들입니다. 전기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도 한 번쯤 두꺼비집을 열어보거나 분전함을 열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위에 사진처럼 말이죠. 잡소리 그만하고 시작하겠습니다!

배선용차단기와 누전차단기

1. 배선용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는 MCCB라고 부르며 과부하 및 단락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차단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그래서 배선용 차단기가 설치된 라인은 인명하고는 관계가 없는 라인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분전함의 메인으로 사용되며 그 밑으로도 인명과 관계가 없다면 배선용 차단기를 사용합니다. 쉽게 회로보호용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50A 배선용 차단기라면 50A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차단기가 트립 되며 내려갑니다. 회로보호용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50A 배선용 차단기 규격에 맞게 전선의 두께도 사용하였을 텐데 그 이상의 전류가 흐른다면 전선이 흐물흐물 해지거나 녹아버릴 것입니다. 실제 시공할 때 고려해야 하는 이죠. 가끔 보면 에어컨 설치 기사님들이 계산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전선이 흐물흐물해진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2.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는 ELB 또는 NFB 하고 부르며 과부하 및 누전 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차단하여 인명사고를 방지해줍니다. 누전차단기는 배선용 차단기의 기능에 누설전류(누전)를 체크할 수 있는 기능까지 추가된 녀석입니다. 누전되면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차가 다르다는 것이며 이것을 감지하여 트립을 해줍니다.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구성한 회로 외의 곳으로 전류가 흐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그 전류가 사람으로 흐르면 위험하겠죠. 그래서 사람의 손이 달수 있는 곳에는 누전차단기를 사용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합니다. 제가 일하는 현장에서는 1년에 몇 번씩 누전이 발생하는데 원인을 잡지 못해서 밀리고 밀려 ACB까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답니다. 차이점 위주로 쓰다 보니 내용이 부실하게 되었네요. 다음에는 배선용 차단기, 누전차단기 개별로 차단기 설명과 부하 계산하는 법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무리

배선용 차단기는 과부하 차단 보호가 주목적이고 누전 차단기는 누전차단이 주목적입니다.

 

 

반응형

댓글